인사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국가과학기술 안전을 선도하여
안전한 연구환경을 구축하고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가 정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연구환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안전”입니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실 및 LMO연구시설의 연구자들이 안전한 연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2015년 4월 출범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연구실 안전법)」에 의한 안전환경 구축지원 사업과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LMO법)」에 의한 바이오안전성평가관리사업을 통합·운영함으로써 연구자로 하여금 안전한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연구설 현장지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현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관리 정책·사업 개발을
통해 법·제도 이행 준수를 독려, 안전관리 교육 및 행사를 운영함으로써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확립을 통하여
연구자들의 안전을 위해 어제보다 오늘 더 노력하는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전한 연구환경을 구축하고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가 정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연구환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안전”입니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실 및 LMO연구시설의 연구자들이 안전한 연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는 2015년 4월 출범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연구실 안전법)」에 의한 안전환경 구축지원 사업과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LMO법)」에 의한 바이오안전성평가관리사업을 통합·운영함으로써 연구자로 하여금 안전한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연구설 현장지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현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관리 정책·사업 개발을
통해 법·제도 이행 준수를 독려, 안전관리 교육 및 행사를 운영함으로써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확립을 통하여
연구자들의 안전을 위해 어제보다 오늘 더 노력하는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혁
연혁
- 2019. 12「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 개정
- 2018. 01제3차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기본계획 ('18~'22년) 수립·시행
- 2015. 08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중앙연구안전지원센터" 운영
- 2015. 04생명(연) 내 사업조직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신설 및 운영
- 2015. 04연구실안전환경구축사업 수탁
- 2013. 04LMO연구안전센터 3팀으로 전문화
- 2013. 03제2차 바이오안전성평가관리사업 수행 ('13~'17년 / 총 5년)
- 2013. 02"LMO연구안전센터"로 명칭 변경
- 2012. 12제2차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 계획 ('13~'17년)(안)수립
- 2012. 12「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 2012. 04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 "연구안전관리지원센터" 신설
- 2008. 02제1차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기본계획 ('08~'12년) 수립·시행
- 2008. 01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LMO법) 시행
- 2007. 12제1차 바이오안전성평가관리사업 수행 ('07~'13 / 총 6년)
- 2003. 09바이오안전성의정서 발표
- 2000. 01LMO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바이오안전성의정서" 채택
설립목적
목적
- 과학기술분야 연구실 및 LMO 연구시설의 안전관리 전문기관 역할 수행
- 안전한 연구환경 구축 및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 정착 기여
- 연구실 안전관리 - 대학·연구기관·기업(연) 연구실의 안전사고 예방 및 연구 생산성 향상
- LMO 안전관리 - 시험·연구용LMO의 안전한 연구환경 기반마련 및 연구자 안전확보
비전
비전
국가과학기술 안전을 선도하는 연구안전관리 전문기관
전략
-
L
Leadership
- 안전관리 수행기관의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
-
A
Autonomy
-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 정착 선도
-
B
Building
- 산업안전, 환경, 보건, 정책 분야외의 유기적 연계 체계 구축
-
S
Specialization
- 선진국형 전문안전관리 역량 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