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안전이슈
제목 | LMO Daily issue(2024.10.16) | ||
---|---|---|---|
등록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4-10-16 |
조회수 | 541 | ||
첨부파일 |
|

2024. 10. 16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LMO·생물 안전 및 연구 동향 ]
[ 유관기관 소식 ]
합성생물학, 2030년 반도체의 3배 성장...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가 생태계 기반"(10/16, 한국일보)
6년 뒤 합성생물학 시장 규모 3.6조 달러, 한국 기술 세계 4위지만, 상용화는 더뎌, 바이오 파운드리로 자동화·고속화 필요
6년 뒤 합성생물학 시장 규모 3.6조 달러, 한국 기술 세계 4위지만, 상용화는 더뎌, 바이오 파운드리로 자동화·고속화 필요
미니 장기 '오가노이드'…암·희귀질환 극복할 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10/15, 한국경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전분화능줄기세포 유래 3D 장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최초로 장의 건강과 질환 치료에 영향을 주는 신규 루테리 균주 발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전분화능줄기세포 유래 3D 장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최초로 장의 건강과 질환 치료에 영향을 주는 신규 루테리 균주 발굴
[김용환 교수의 트짚] 규제의 걸림돌에 막힌 종자 혁신(10/15, 농수축산신문)
현재 우리나라는 외부 유전자가 종자 내에 도입되는 유전자 변형 기술뿐만 아니라 전통적 육종기술과 동일하게 외부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해서도 법적 규제가 높아 종자 경쟁력 제고에 치명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
현재 우리나라는 외부 유전자가 종자 내에 도입되는 유전자 변형 기술뿐만 아니라 전통적 육종기술과 동일하게 외부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해서도 법적 규제가 높아 종자 경쟁력 제고에 치명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
28116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연구단지로 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Copyright © National Research Safety Information Syste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