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역사

LMO의 배경 및 역사

1971년 유전자합성의 성공을 계기로 활발히 연구개발 되었으며 1973년 이후부터는 LMO 연구개발 분야(Biotechnology)와 안전관리 분야(Biosafety)로 분화되어 발전하였습니다.

연구개발 / 상업화
국제 바이오안전성
1865
1865 유전법칙 발견 : 멘델
1950
1953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 : 왓슨&크릭
1970
1973 최초의 유전자변형 E.coli 개발 : 보이어&코헨
1974 LMO의 잠재적 안전성 문제 제기 : 버그 서한
1976 유전자재조합 연구지침 발표 : 미국 NIH
1978 유전자변형대장균에서 인슐린 생산
1983 Agrobacterium법 개발(Agrobacterium을 이용한 식물 유전자 도입 기술)
1990
1993
  • 생물다양성협약 발효
  • 미국, 브라질넛 사건(유전자 변형 대두의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발견)
1994 GMO토마토(Flavr Savr) 상업적재배 <1997년 생산중단>
1996 1세대 유전자 가위 기술 ZFNs (Zinc Finger Nucleases) 개발
1997 유전자변형작물 상업화(옥수수, 대두 등)
1998 영국, 푸츠타이 박사 GM감자 실험결과 논란
2000
2000 황금쌀 개발(베타카로틴 함유를 통한 비타민 A 결핍 예방)
2000
  • 카르타헤나의정서 채택(LMO의 국가간 이동과 사용에 대한 국제적 협약)
  • 미국,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발생(사료용 GMO 옥수수, 인간 식용으로 유출)
2001 대만, 형광 GM물고기 판매
2002 일본, 파란 GM장미 개발
2003 카르타헤나의정서 발효(2021년 현재 173개국과 EU 가입)
2005 미국, 제초제내성 GM알팔파 상업적 재배 승인
2010
2010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책임구제 추가의정서 채택
2012
  • 1996년 대비 GM작물 재배면적 100배 증가
  •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 CRISPR/Cas9 개발
2017
  • 캐나다, GM사과 판매계획 발표
  • 캐나다, GM연어 판매 개시<2025년 생산 중단>
2017 세계 각지, 미승인 GM페튜니아 발견
2018 부르키나파소, GM모기 방출 승인
2018
  •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책임구제 추가의정서 발효
  • 제9차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회의(이집트)
  • 유럽사법재판소, 유전자가위기술유래산물 GMO 규제적용판결
2019
2019
  • 4세대 유전자가위 기술 Prime Editer 개발
  • 미국, 유전자가위 대두 유래 식용유 판매(일부지역)
  • 미국, 저칼로리 감미료 대량생산 GM효모 개발
  • 미국, 유전자가위기술 이용 유용형질 3종 포함 카놀라 개발
2019
  • 호주, '유전자기술규제 2001' 개정(유전자가위기술 규제 포함)
  • 미국 워싱턴주, 미승인 GM밀 발견
  • 유전자가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아프리카연합 설립 선언 채택
  • 일본 유전자가위 적용 산물 관련 규제완화 발표
2020
  • 아르헨티나, 가뭄내성 GM밀 재배 승인
  • 미국, 의료 및 식품용 GM돼지 승인
  • 한국, 유전자가위 넙치 개발
2020
  • 미국, SECURE 규정 발표(2021년 10월 1일 전면시행)
  • 멕시코, 글리포세이트/GM옥수수 금지 결정
2021
  • 케냐, 질병저항성 GM카사바 재배 승인
  • 필리핀, 황금쌀 재배 승인
  • 일본, 유전자가위 토마토/참돔 판매 허가
  • 브라질, GM밀(가루) 수입 승인
2021
  • EU, 유전체신기술(NGT) 검토보고서 발표
    -유전자가위 산물 규제 개선 움직임
  • WHO, GM모기 활용에 대한 새로운 지침 발표
2022 미국, 유전자변형 돼지 심장의 인체 이식 수술 시행
2023 국내산 주키니 호박 종자에서 미승인 LMO 확인, 판매중단 및 수거/폐기 조치
2024 미국, SECURE 규정 무효화
2025 중국, 심장질환 예방 효과 지닌 유전자편집(CoQ10) 쌀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