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MO 취급관리기준

표시

표시원칙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수입하는 자는 수입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또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용기나 포장에 다음 사항을 표시하여야 함(법 제24조 및 시행령 제24조).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명칭, 종류, 용도 및 특성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주의사항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수출자, 수입자의 성명 · 주소 및 전화번호(상세기재)
  • 유전자변형생물체에 해당하는 사실
  • 환경 방출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해당여부

표시방법

  • 표시사항은 명확해야 하며, 다른 표식에 가려지지 않도록 포장에 직접 표시
  • 유전자변형생물체를 다중 포장할 경우 각각의 용기에 표시
  • 표시는 한글을 사용하며, 필요시 영어 또는 특정 표식을 혼용·병기 가능

벌칙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LMO법 제42호)

LMO법 제24조에 의한 표시사항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 시 기재 사항(좌)

  • 1. LMO의 명칭, 종류, 용도 및 특성
    • 명칭 : B65JL-Tg(SD1*G93A)1Gur/j
    • Stock#002726
    • 종류 : MICE
    • 용도 : 시험연구용
  • 2. LMO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주의사항
    • 별도의 운송수단으로 격리하여 운송할 것
    • 외부인 및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할 것
    • 취급시 안전보호구 착용할 것
    • 관계자 외 취급금지
3. LMO의 개발자 또는 생산자, 수출자 및 수입자의 성명 및 연락처
  • 수출자 : Jackson Lab, USA1-800-422-6423
  • 수입자 : OOO 바이오 000-000-0000
  • 4. LMO의 해당하는 사실
    • 정상생물체와 다르게 특정 유전자(gene)를 변화시킨 유전자변형생물체임
  • 5. 환경방출로 사용되는 LMO 해당여부
    • 해당없음(시험연구용으로 연구시설 내에서 사용됨)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 시 표지 부착(우)


취급관리 및 기록작성 등

취급관리

  • 유전자변형생물체 운반 시 유출방지를 위해 밀폐해야하며, 파손 방지 등 주의사항을 준수해야 함
    ※ 병원성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감염성이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운반 시, 용기 및 포장규격은 「감염성 물질의 안전수송 지침」을 따름
  • 유전자변형생물체는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적합한 보관 시설에 보관하며, 취급ᆞ관리전담자 또는 책임자를 지정하여 시설 및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리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운반 및 관리 대장 등을 작성하여 보관
  • 유전자변형생물체를 폐기할 경우 생물학적 활성 제거 후 폐기(멸균기, 화학소독제 등 사용)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유출방지 또는 유출 시 사후처리 등에 관한 비상조치체계 마련

관리대장 작성예시

◼︎ 유전자변형생물체 시행규칙[별지 제45호의2서식]

시험∙연구용 등의 유전자변형생물체 취급∙관리대장

시험·연구용 등의 유전자변형생물체 취급·관리대장
일자 LMO정보 수입정보 국내외 이동시 취급정보
(운반, 수출, 분양 등)
보관정보 수량정보 비고 서명
연월일 명칭 숙주
생명체
삽입
유전자
공여
생물체
매도자
정보
수입
신고
번호
취급
유형
출발
지점
(기관명
및 시설
번호)
도착
지점
(기관명
및 시설
번호)
보관
장소
(시설
번호)
시설
등급
입고량 사용량 보관량 취급자 책임자
(부서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기재방법

  • LMO 정보 : 관리하고자 하는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명칭 숙주생물체, 삽입 유전자 및 공여생물체 정보를 기재합니다.
  • 수입정보 : 수입을 하는 매도자 명(소속기관의 기관명 또는 매도자 성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부여한 수입신고번호를 기재합니다.
  • 국내∙외 이동시 취급정보
  •   ① 취급유형 - 유전자변형생물체 이동에 대한 유형(운반, 수출, 분양 등) 정보를 기입합니다.
      ② 출발지점(시설번호) / 도착지점(시설번호)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이동 전∙후 기관명 및 시설 번호를 기재합니다.(단, 해외 시설의 경우 기관명 및 담당자명 등 기재)
  • 보관정보 :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장기 보관(냉동보관 또는 액체질소 보관 등) 할 경우에만 보관 장소(시설번호) 및 시설등급을 기재합니다.
  • 수량정보 : 작성자가 소속되어 있는 시설을 기준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입고량(수입, 구매 등)/사용량(수출, 분양, 이동 등)/보관량을 기재합니다.
  • 비고 : 입∙출고 및 보관량 변동 사유 등 부가적인 설명을 기재합니다.
  • 작성항목 중 해당되는 사항만 선택하여 기재합니다.
항목별 작성방법
항목별 작성방법
분류 항목 작성방법
일자 1연월일 수입, 운반, 보관 날짜 작성
LMO정보 2명칭

취급‧관리하는 LMO의 명칭 작성

수입 LMO의 경우 수입신고확인서에 명시된 LMO 명칭 작성

3숙주 생물체

유전자가 변형된 생물체 또는 재조합 DNA가 삽입된 생물체 작성

예) 해파리의 형광 유전자를 분리 후 마우스에 주입하여 형광마우스(LMO)를 만든 경우 숙주생물체는 마우스가 됨

4삽입 유전자

유전자 재조합 시 삽입된 유전자의 명칭 작성

예) 해파리의 형광 유전자를 분리 후 마우스에 주입하여 형광마우스(LMO)를 만든 경우 삽입유전자는 형광유전자가 됨

5공여 생물체

삽입 유전자의 유전정보를 제공한 생물체 명칭 작성

예) 해파리의 형광 유전자를 분리 후 마우스에 주입하여 형광마우스(LMO)를 만든 경우 공여생물체는 해파리가 됨

수입정보 6매도자 정보

LMO가 출발하는 해외 기관의 정보 작성(판매업체, 대학 등)

7수입신고 번호 LMO 수입신고 후 발급된 신고번호 작성 (제 LMI 00-00 호)
국내∙외 이동시 취급정보 8취급 유형 LMO 이동 유형 작성(수입, 운반, 수출, 분양 등)
9출발 지점

LMO 이동 시 출발지점의 LMO 연구시설 번호 작성(제 LML 00-00 호)

LMO 수입 시, 출발지점 연구시설이 없는 경우 출발지점 명칭(기관명, 업체명 등) 작성

10도착지점

LMO 도착지점의 LMO 연구시설 번호 작성(제 LML 00-00 호)

LMO 수출 시 도착지점 명칭(기관명, 업체명 등) 작성

보관정보 11보관장소 LMO를 보관하는 연구시설 번호 작성(제 LML 00-00 호)
12시설등급 LMO를 보관하는 연구시설 안전관리등급 작성
수량정보 13입고량 연구시설 내 입고된 LMO의 수량 작성(단위 : vial, tube, plate, 마리, ml 등)
14사용량 연구에 사용된 LMO 수량 작성
15보관량

연구시설 내 보관되어 있는 LMO 수량 작성

예) 수입된 LM대장균이 5vial 입고, 당일 1vial 사용, 4vial 보관하는 경우

       입고량 5vial / 사용량 1vial / 보관량 4vial 이 됨

예) 수입된 LM 대장균이 1vial 입고, 추가 배양으로 10vial을 생산한 경우

       입고량 1vial / 보관량 10vial 이 됨, 이 때 입고량과 보관량이 차이나므로 비고란에 ‘배양’ 등 표기 필요

서명 16취급자 및 책임자 서명

(취급자) 해당 LMO 취급 연구자 서명

(책임자) 상위관리자(설치운영책임자, 생물안전관리책임자 등) 서명

※ 관리대장은 상위관리자로부터 관리/감독되어야 하므로 취급자 서명 뿐만 아니라, 부서장 또는 책임자의 서명을 주기적으로 받아야 함

보고 및 검사

  •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수입 신고를 한자로 하여금 보고를 하게 하거나 자료 또는 시료의 제출을 요구 할 수 있습니다.
  • 신고를 하지 않고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로 판단되는 물품을 수입한 자에 대하여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당해 사무·연구시설·보관 장소 등에 출입하여 관계 서류나 시설·장비 및 보관상태 등을 검사하게 할 수 있습니다.